본문 바로가기

지식연구소

해현경장 뜻, 유래, 거문고의 줄을 바꾸어 매다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해현경장의 뜻과 그 유래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현경장의 모든 것

해현경장이란?

해현경장은 거문고의 줄을 바꾸어 맨다라는 뜻의 한자성어입니다. 이는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느슨해진 것을 긴장하도록 하게 하거나 사회적 또는 정치적으로 제도를 새롭게 개혁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자어로는 '풀 해, 시위 현, 고칠 경, 베풀 장'을 쓰는데요. 그 유래는 중국 한나라 때의 무제가 올린 현량대책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해현경장의 유래

옛 중국의 동중서는 이름난 유학자였는데요. 어려서부터 춘추를 공부했고 박사가 되었습니다. 박사가 된 경제 이후에 무제가 즉위했는데요. 무제는 국사를 운영하면서 수시로 동중서에게 자문을 구했다고 합니다. 무제가 널리 인재를 등용하려고 하자 동중서는 <원광원년거현량대책>이라는 글을 올렸는데요. 바로 그 글 속에서 해현경장이 유래합니다. 아래에 그 글 중 일부를 발췌해서 풀어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한나라는 진나라의 뒤를 계승해서 썩은 나무와 똥이 뒤덮인 담장과 같습니다. 그래서 잘 다스리려고 해도 어찌 할 도리가 없는 지경입니다. 이를 비유하자면 거문고를 연주할 때 소리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심해지면 반드시 줄을 풀어서 고쳐 매어야 제대로 연주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정치도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가 심하면 반드시 옛것을 새롭게 변화해서 개혁해야만 제대로 다스릴 수 있습니다. 줄을 바꿔야 하는데도 바꾸지 않으면 훌륭한 연주가라고 하더라도 조화로운 소리를 낼 수 없고 개혁해야 하는데도 개혁하지 않으면 대현이라고 하더라고 나라를 잘 다스릴 수가 없습니다.

바로 여기서 해현경장이 유래했는데요. 위 글만 읽어도 해현경장의 뜻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때부터 해현경장은 사회적, 정치적 개혁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로 활용되게 되었는데요. 우리나라의 갑오경장의 명칭도 바로 이 해현경장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합니다. 해현경장과 비슷한 말로는 개현경장, 개현역장, 해현역철, 개현역철, 개현역조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해현경장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거문고의 줄을 바꾸어 매다라는 뜻이 정말 적절한 비유로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네요. 우리 사회도 썩은 것은 도려내어야 새로운 개혁이 일어날 수 있을 텐데요. 썩은 것이 제도라면 고쳐지겠지만 썩은 것이 다른 것이라면 참 골치가 아플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2024.09.04 - [지식연구소] - 빙산의 일각 뜻, 빙산이 물에 뜨는 이유와 실제 크기

 

빙산의 일각 뜻, 빙산이 물에 뜨는 이유와 실제 크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빙산의 일각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더불어 빙산이 물에 뜨는 이유는 어떤 원리이며, 빙산의 일각으로 표현하는 만큼 실제 빙산의 크기는 얼만큼 클지 알아보도록 하

ediaj.tistory.com

2024.06.19 - [지식연구소] - 컨벤션 효과 뜻, 의미, 정치인들이 컨벤션 효과를 노리는 이유

 

컨벤션 효과 뜻, 의미, 정치인들이 컨벤션 효과를 노리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컨벤션 효과의 뜻과 그 의미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컨벤션 효과란?컨벤선 효과는 영어로 'Convention Effect'로 쓰는데요. 주로 경선이나 전당대회 같은 정치적

ediaj.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