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연구소 (187) 썸네일형 리스트형 분골쇄신 뜻, 유래,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진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분골쇄신의 뜻과 그 유래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분골쇄신이란?분골쇄신은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진다는 뜻의 한자성어입니다. 즉 어떤 일에 온 힘을 다해서 노력하는 것을 의미하는 말인데요. 한자어로는 '가루 분, 뼈 골, 부술 쇄, 몸 신'을 씁니다. 분골쇄신은 중국 당나라 때 장방이 쓴 소설인 에서 유래했다고 하는데요. 한번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분골쇄신의 유래명문가 출신이었던 이익은 스물의 나이에 진사 시험에 합격을 하게 됩니다. 시험을 기다리며 장안에 머물고 있었던 그는 중매인의 소개로 명기였던 곽소옥을 만나게 되는데요. 두 사람은 서로를 사랑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곽소옥은 첩의 소생이었던 자신의 신분이 미천해서 이익과 오래도록 함께하지 못할까 늘 불안해했는데.. 보헤미안 뜻, 자유를 찾아 유랑하는 방랑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헤미안의 뜻과 그 유래는 무엇인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보헤미안이란?모두들 퀸의 보헤미안 랩소디라는 노래는 잘 알고 계실 텐데요. 또 보헤미안이란 단어는 꽤나 많이 들어보아서 어떤 의미인지는 대략 감은 잡히는데 정확히 어떤 걸 의미하는지 아는 분들은 많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 마찬가지이고요. 그래서 오늘은 이 보헤미안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보헤미안에 대해서보헤미안의 어원은 프랑스어의 '보엠'입니다. 체코의 보헤미아 지방에 유랑민족인 집시가 많이 살고 있었는데요. 15세기 경 프랑스인은 이런 집시를 보헤미안이라고 불렀습니다.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사회의 관습이나 문화에 구애를 받지 않는 방랑자나 자유분방한 생활을 하는 예술가, 문학가.. 지리멸렬 뜻, 유래, 이리저리 찢겨서 갈피를 잡을 수 없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리멸렬의 뜻과 그 유래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지리멸렬이란?지리멸렬은 이리저리 흩어지고 찢겨서 갈피를 잡을 수 없다는 뜻의 한자성어입니다. 한자어로는 '가를 지, 떼놓을 리, 멸망할 멸, 찢을 렬'를 쓰는데요. 곧 체계가 없이 마구마구 흩어져서 갈피를 잡을 수 없는 모양새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그럼 그 어원과 유래도 한번 살펴볼까요!?지리멸렬의 유래우선 지리의 어원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지리의 어원은 두 가지가 전해진다고 하는데요. 첫째는 옛날에 지리라는 사람이 살았는데 그는 소나 돼지 따위의 짐승을 잡을 때 누구보다 뼈와 살을 개끗하게 발라내는 도살의 명수였습니다. 그의 손에 짐승을 맡기면 원래의 형체를 알아볼 수 없게 이리저리 찢기어 해체되었기 때문에 그의 능력을 따서 지.. 언어도단 뜻, 유래, 말과 길이 끊어지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언어도단의 뜻과 그 유래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언어도단이란?언어도단은 말과 길이 끊어졌다는 뜻의 한자성어입니다. 즉, 말문이 막히거나 도저히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기가 막힌 상황이라는 의미로 쓰이는데요. 원래 불교에서는 언어도단을 궁극의 진리는 심오하고 오묘하여 말이나 문자로 표현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한자어로는 '말씀 언, 말씀 어, 길 도, 끊을 단'을 씁니다. 앞서 잠깐 언급했듯이 언어도단은 불교에서 유래한 사자성어인데요. 그 유래도 한번 살펴볼까요!?언어도단의 유래언어도단은 불교 용어로서 심오하고 미묘하여 말로 표현할 방법이 없다는 뜻입니다. 이라는 대승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말이라고 하는데요. 여기서 "언어의 길이 끊어지고 마음이 가는 곳이 사라진다."라는 .. 언감생심 뜻, 의미, 어찌 감히 마음이 생길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언감생심의 뜻과 그 유래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언감생심이란?언감생심은 어찌 감히 마음이 생긴단 말인가라는 뜻인데요. 어떤 일을 해 볼 엄두도 못내는 상황에서 쓰이는 한자성어입니다. 한자어로는 '어찌 언, 감히 감, 날 생, 마음 심'을 쓰는데요. 언감은 '어찌 감히'라는 뜻의 어조사입니다. 생심은 어떤 일을 하려고 마음 먹는 것을 의미하는 말로 이 두 단어가 합쳐져서 언감생심이라는 사자성어가 탄생한 것입니다.언감생심의 의미언감생심은 원래 한문에서는 흔히 쓰인 표현인데요. 사실 오늘날의 현대사회에서도 자주 쓰이는 한자성어 중 하나입니다. 본래 향해야 할 목표나 성격과는 다르게 일을 진행하는 경우나 턱없이 모자란 역량을 가지고 너무 높은 꿈을 꿀 때, 또 다른 의도를 가지고 못.. 시시비비 뜻, 유래, 옮은 것을 옳다 하고 그른 것을 그르다고 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시시비비의 뜻과 유래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시시비비란?시시비비는 옮은 것을 옳다고 하고 그른 것을 그르다고 한다는 뜻의 한자성어입니다. 말 그대로 공정하게 판단하는 것을 의미하는 말인데요. 한자어로는 '옳을 시' 두 자와 '아닐 비' 두 자를 씁니다. 시시비비를 가리는 것이 현대사회에서도 참 중요한 일인데요. 옛 중국 시대에도 그러했나봅니다. 시시비비가 순자의 에서 유래한 말이기 때문입니다.시시비비의 유래순자의 에는 "옳은 것을 옳다고 하고 그른 것을 그르다고 하는 것은 지혜로운 일이요, 옳은 것을 아니라고 하고 그른 것을 옳다고 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라는 문장이 등장합니다. 즉, 참과 거짓을 분명하게 가려내는 것이 지혜로운 일이고 그와 반대로 하는 것이 어리석은 일이.. 동상이몽 뜻, 유래, 같은 잠자리에서 다른 꿈을 꾼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동상이몽의 뜻과 그 숨은 의미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동상이몽이란?동상이몽은 같은 잠자리에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한자어로는 '같을 동, 침상 상, 다를 이, 꿈 몽'을 쓰는데요. 비교적 그 의미 파악이 쉬운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어서 현대에도 참 많이 쓰이는 한자성어 중에 하나가 되었습니다. 그 의미를 살펴보면 서로 같은 처지에 있으면서도 그 생각이나 지항햐는 바가 다르거나 겉으로는 함께 행동하면서도 속으로는 다른 생각을 갖고 있을 때 쓰는데요.동상이몽의 유래동상이몽에서 상은 평상이나 잠자리를 가리킵니다. 예로부터 중국은 침대를 주로 사용했는데요. 나무로 다리를 세우고 그 위에 널빤지를 대서 잠자리로 이용했는데요. 이를 상이라고 표현합니다. 우리나라는 침대 .. 환골탈태 뜻, 유래, 뼈를 바꿔 넣고 탈을 달리 쓰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환골탈태의 뜻과 그 유래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환골탈태란?환골탈태는 뼈를 바꿔 넣고 탈을 달리 쓴다는 뜻의 한자성어입니다. 한자어로는 '바꿀 환, 뼈 골, 빼앗을 탈, 아이 밸 태'를 쓰는데요. 그 의미로는 고인의 시문을 형식을 약간 바꾸어서 새롭게 하는 일이라고 쓰이기도 하고요. 용모가 환하게 트이고 아름다워져서 전혀 다른 사람이 된다는 의미로 주로 쓰입니다. 원래 환골탈태는 선가에서 나온 말이라고 하는데요. 그 유래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환골탈태의 유래환정견은 소식과 함께 북송을 대표하는 시인이었습니다. 황정견은 박식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박식을 자랑해서 함부로 인용하는 일이 없었고 그것을 완전히 소화시켜서 내 것처럼 자유롭게 쓰며 독자적인 세계를 이루어낸 시인.. 메타인지 뜻, 자신의 인지 과정을 한 차원 높은 시각에서 바라본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메타인지의 뜻과 그 의미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메타인지란?메타인지는 자신의 인지 과정에 대해서 한 차원 높은 시각에서 관찰하고 발견하고 통제하는 정신 작용을 의미합니다. 영어인 meta와 한자어인 '인지'가 결합한 재미있는 단어인데요. 한 차원 높은 시각에서 자신을 바라는 심오한 개념이기도 한데요. 비슷한 말로는 상위인지, 초인지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또 이를 두고 우리 자신의 사고능력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눈이라고 부르기도 하죠. 그만큼 메타인지가 잘 되는 사람은 자기 객관화가 잘 된 사람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자기 자신을 남처럼 파악하는 능력이야말로 정말 어려운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메타인지의 개념메타는 어떤 활동이나 행위의 뒤에 따라오는 활동이나 행위를 의미하.. 기상천외 뜻, 쉽게 짐작할 수 없을 정도로 기발하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상천외의 뜻과 그 의미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기상천외란?기상천외는 보통 사람이 짐작할 수 없을 정도로 엉뚱하고 기발한 것을 의미하는 고사입니다. 한자어로는 '기이할 기, 생각 상, 하늘 천, 바깥 외'를 쓰는데요. 사실 기상천외는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등재되어 있는 우리말 표준어입니다!기상천외를 네이버 국어사전에 검색해보았는데요. 파생어로는 '기상천외하다'도 있고요. 기상천외는 명사로서 '착상이나 생각 따위가 쉽게 짐작할 수 없을 정도로 기발하고 엉뚱함.'으로 풀이하고 있네요. 예문으로는 '기상천외의 제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이태준의 이라는 소설에도 등장하는 말인데요. '그가 얘깃거리를 취재하는 방면은 기상천외로 야간 범위가 넓지 않은 데는 도저히 당할 수가 없었다'라.. 이전 1 2 3 4 5 6 7 8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