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지식연구소

(187)
건곤일척 뜻, 유래, 하늘과 땅을 걸고 운에 맡기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곤일척의 뜻과 그 유래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건곤일척이란?건곤일척은 하늘과 땅을 걸고 운에 맡겨서 한번 던져본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자신의 모든 운을 하늘에 맡기고 어떤 일을 단행하는 것을 비유한 말인데요. 한자어로는 '하늘 건, 땅 곤, 한 일 던질 척'을 사용합니다. 건곤은 에 나오는 건괘와 곤괘를 이르는 말인데요. 이는 천하와 천지를 뜻합니다. 결국 건곤일척은 천하를 걸고 한번 던져서 승패를 겨룬다는 의미가 되는 것입니다.건곤일척의 유래중국 당나라 제일의 문장가로 불리는 한유가 옛날 초나라 항우와 한나라 유방이 천하를 두고 싸움을 한 곳인 홍구를 지나다가 라는 시를 지었는데요. 그 시의 마지막이 구절이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용은 지치고 호랑이도 피곤해서 강과 들..
단도리 치다 뜻, 의미, 순화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단도리 치다에서 단도리의 뜻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우리말 순화어로는 어떤 것이 있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단도리란?우리는 일상을 살아가면서 '단도리 친다'는 말을 자주 쓰곤 하는데요. 저도 어렸을 때나 학창 시절에 이 말을 참 많이 썼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하지만 이 말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바로 일본어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단도리는 '단속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정의하고 있는데요. 국립국어원에서 제시하는 단도리의 표준화 용어는 바로 '단속'입니다. 사실 단도리를 쓸 때 단속으로 바꿔 써도 전혀 문제가 없는데요. 그 의미가 같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단도리라는 말을 일상에서 써서 우리들 문화 속에 체감되어 있는 느낌 때문인지 단도리 친다가 단속을 한다의 의미와 100% 동일하다고..
엄동설한 뜻, 의미, 매서운 겨울의 추위 안녕하세요. 오늘은 엄동설한의 뜻과 그 의미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엄동설한이란?엄동설한은 매서운 겨울의 심한 추위를 이르는 사자성어입니다. 한자어로는 '엄옥할 엄, 겨울 동, 눈 설, 찰 한'을 쓰는데요. 비슷한 한자어로는 '동빙한설'이 있습니다. '엄'이란 한자어가 들어가니까 상당히 가혹하도록 매서워 보이는데요. 우리도 선선한 가을이 지나고 곧 엄동설한이 찾아올 예정이죠. 이번 겨울은 특히나 춥다고 하니 걱정이 참 많습니다. 이럴 때 이 엄동설한에 대해서 포스팅하는 것도 더 의미가 있는 거 같은데요. 그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국어사전으로 본 엄동설한의 의미엄동설한을 국어사전에 검색한 결과입니다. 엄동설한은 우리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정식 우리말인데요. 그 의미는 명..
NCND 뜻,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는 미국의 핵정책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국의 핵정책인 NCND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NCND란?NCND는 영어로 'neither confirm nor deny'의 약자입니다. 한반도를 비롯해서 해외에 있는 핵무기의 존재를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는 미국의 핵정책이 바로 NCND인데요.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미국이 핵무기를 사용한 시실에 대해서 비판을 하고 소련의 수소폭탄 개발 등 핵개발 확산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채택한 정책인데요. 존재도 부정도 하지 않는 정책이 어떻게 효율적인지 아이러니 하지만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또 이해가 가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미국에게 NCND 정책의 의미한 마디로 NCND를 정의하면 미국의 핵우산국 내에 핵무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시인..
물아일체 뜻,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룬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물아일체의 뜻과 그 세계관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물아일체란?물아일체는 인간과 자연이 만물들이 조화를 이루는 것입니다. 인간은 만물과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로서 사랑해야 한다는 세계관과 일맥상통합니다. 물아일체는 장자가 말한 것인데요. 장자의 물아일체를 들여다보면 일체의 감각과 사유 활동을 정지하고 좌망하여 사물의 변화에 임한다면 절대 평등의 경지에 있는 도가 빈 마음속에 모아진다고 말했습니다. 모든 걸 내려놓고 자연에 순응할 때 도가 이루어진다는 것인데요.물아일체의 의미물아일체와 반대되는 개념이 바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인데요. 인간 중심적 세계관은 만물을 신이 인간에게 내려 준 축복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바로 이 세계 자체가 인간을 위해 만들어졌다는 것인데요. 이런 세계..
산전수전 뜻, 유래, 온갖 고생과 시련을 겪은 경험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전수전의 뜻과 그 유래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산전수전이란?산전수전은 말 그대로 산과 물에서 싸웠다는 뜻의 사자성어인데요. 온갖 고생과 시련을 겪어서 경험이 많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한자어로는 '메 산, 싸울 전, 물 수, 싸울 전'인데요. 그 유래는 손자의 에서 등장했다고 합니다.산전수전의 의미산전은 말 그대로 산에서 싸우는 것이고요. 수전은 물에서 싸우는 것입니다. 산전과 수전은 육지에서 싸우는 것보다 더 강한 체력과 고도의 전술이 필요한데요. 그만큼 피해와 희생도 만만치 않은 전투입니다. 따라서 강도 높은 훈련을 받지 않거나 경험이 많지 않은 평범한 병사를 이끌고는 산전수전을 치를 수가 없는데요. 그러므로 산전수전을 겪었다는 것은 군사적인 의미에서도 백전노장, 역전의..
속수무책 뜻, 손이 묶여 어떠한 계책도 세울 수 없는 상태 안녕하세요. 오늘은 속수무책의 뜻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속수무책이란?속수무책은 손이 묶여서 어떠한 계략도 세울 수 없다는 뜻의 한자성어입니다. 그 뜻만 살펴보아도 참 답답한 상황이라는 것을 느낄 수가 있는데요. 한자어로는 '묶을 손, 손 수, 없을 무, 책략 책'을 씁니다. 결국 아무런 방안을 낼 수 없는 답답한 상황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인데요.속수무책에서 '속'은 묶다, 동여매다, 결박하다와 같은 의미가 있습니다. 단속하다, 구속하다의 단어에서 쓰이는 바로 그 글자입니다.속수무책의 활용속수무책은 우리 국어사전에도 등록되어 있는 우리말 단어입니다. 속수무책의 발음을 보면 '속쑤무책'이란 걸 알 수 있고요.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정식 우리말이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어사전에..
PESM 증후군 뜻, 자기 마음에 대한 자의식 과잉 안녕하세요. 오늘은 현대사회에서 흔히 발생하고 있는 PESM 증후군, 자의식 과잉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PESM 증후군이란?PESM 증후군은 끊임없이 이어지는 머릿속의 생각들을 통제하지 못하고 여러 정신적인 불안, 우울, 강박 등으로 뻗쳐 나가게 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일종의 자의식 과잉으로 해석해볼 수 있는데요. 이게 생각이란 게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면서 정신적으로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경우입니다. 아마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이라면 PESM 증후군에 대해서 어느정도 경험을 했거나 최소한 공감은 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요.자의식 과잉이라 함은 자기 마음의 위치에 신경을 쓰는 자의식이 지나치게 많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면 모두 자기 자신의 일이 마음에 걸..
품앗이 뜻, 유래, 농촌에서의 협동 노동의 형식 안녕하세요. 오늘은 품앗이의 뜻과 그 유래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품앗이란?품앗이는 농촌에서의 비교적 단순한 협동 노동의 형식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노동을 교환하는 형태로 이해하면 되는데요. 그 원초적인 의미를 살펴보면 품앗이는 품갚음이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즉 주고 받는 형태인 것이죠. 따라서 그 형식 자체는 굉장히 대등한 것입니다. 주는 만큼 받는 것이죠. 따라서 머슴처럼 일방적으로 노동을 시키는 형태는 품앗이가 되지 않습니다.따라서 품앗이는 인간의 노동력은 원칙적으로 크게 차등을 두지 않고 대등하다는 가정하에 노동을 상호 교환하는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옛말에 두레는 공동체적인 것을 의미한다면 품앗이는 개인적이거나 소규모 집단의 노동 교환을 의미하게 됩니다. 결국 상부상조가 원칙이기에 처..
천상천하 유아독존 뜻, 유래, 오직 나만 홀로 높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천상천하 유아독존의 뜻과 유래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천상천하 유아독존이란?천상천하 유아독존은 오늘날에도 참 많이 쓰이는 표현 중 하나입니다. 심플하게 해석하면 바로 하늘 아래 나만 오직 높다!는 뜻인데요. 불경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오늘날에는 주로 자기 스스로 가장 훌륭하다고 믿는 독선적인 태도를 비유하는 부정적 의미로 많이 사용되곤 합니다. 유아독존의 한자어로는 '오직 유, 나 아, 홀로 독, 높을 존'입니다. 그럼 천상천하 유아독존의 유래도 한번 살펴볼까요?천상천하 유아독존의 유래중국 불교 선종의 역사서인 은 총 20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바로 이 곳에서 천상천하 유아독존이 등장하는데요. 바로 다음 구절입니다.세존이 막 세상에 태어나서 한 손으로 하늘을 가리키고 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