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지식연구소

(187)
대물림 되물림 맞춤법 바로 알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물림과 되물림의 맞춤법에 대해서 정확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물림, 되물림 올바른 표현은? 우리의 과오는 자식 세대에게 대물림 된다 / 우리의 과오는 자식 세대에게 되물림 된다 어떤 게 올바른 표현일까요!? 헷갈리는 맞춤법 중 하나인데요. 오늘 정확히 살펴보고 앞으로 일상에서 활용해볼까요. 대물림 대물림을 국어사전에 검색해보았습니다. 대물림은 명사로서 '사물이나 가업 따위를 후대의 자손에게 남겨 주어 자손이 그것을 이어 나감. 또는 그런 물건.'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찾고 있는 의미와 동일한데요. 즉, 대물림은 표준어였습니다! 대물림의 대는 한자로서 '代'인데요. 이 대가 바로 시대, 세대할 때의 대입니다. 이제 조금은 기억하기 쉽겠죠!? 세대를 이어서 물려주기 때문에 ..
죽마고우 뜻, 의미, 죽마고우 같은 친구 이야기 유래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죽마고우의 뜻과 그 의미, 그리고 죽마고우의 유래까지 알아보는 포스팅입니다!죽마고우란?죽마고우는 어려서부터 함께 지내던 오랜 친구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한자어로는 '대나무 죽, 말 마, 옛 고, 벗 우'인데요. 한자어를 직역하면 대나물 말과 옛 친구인데요. 한자어를 직역해서는 죽마고우가 어떤 친구인지 그 의미를 파악하기란 쉽지 않은데요. 그 속에 숨겨진 이야기를 알게 되면 이제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죽마고우 이야기옛 동진시대에 환온과 은호라는 어릴 적 친구들이 있었습니다. 훗날에 환온은 성장하여 권력을 차지하게 되는데요. 환온의 권력이 점점 커지자 황제는 그의 권세를 우려해서 은호를 조정으로 부르게 됩니다. 은호는 재주가 뛰어나고 평판이 좋았는데요. 사실 은호는 그 ..
각자도생 뜻, 유래, 우리 역사 속 각자도생의 시기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각자도생의 뜻과 의미, 그리고 우리 역사 속 각자도생의 시기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각자도생이란?각자도생은 '각자가 스스로 살 길을 찾는다'는 뜻입니다. 한자어로는 '각자 각, 스스로 자, 꾀할 도, 살 생'인데요. 한자어를 그대로 직역해도 '각자 스스로 살 길을 꾀한다' 정도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자성어가 중국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는데요. 각자도생은 중국에서 유래한 한자성어가 아닙니다! 바로 우리나라에서 유래한 말이라고 하네요.각자도생의 유래각자도생은 조선시대에 대기근이나 전쟁 등으로 나라가 어려운 상황에 놓였을 때 백성들이 스스로 살 길을 찾아야 한다는 절박함에서 유래한 말이라고 합니다. 그 유래를 알고나니 왠지 마음이 아픈데요. 역사적으로 많은 고난..
성동격서 뜻, 유래, 상대를 교란시키는 성동격서 전략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상대를 교란시키는 전술! 성동격서의 뜻과 유래까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성동격서란?성동격서는 상대편을 그럴 듯하게 속여서 공격하는 전술을 의미합니다. 한자어로는 '소리 성, 동녘 동, 칠 격, 서녘 서'인데요. 한자어를 풀이하면 '동쪽에 소리를 내고 서쪽을 친다'라는 뜻입니다. 성동격서는 굉장히 유명한 전술로 현대의 일상에서도 많이 회자되는 고사성어인데요. 그 유래를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성동격서의 유래중국의 한나라의 유방과 초나라의 항우가 서로 격렬히 싸울 때입니다. 그러다 위나라의 왕이 항우에게 항복하기에 이르는데요. 유방은 항우와 위나라가 양쪽에서 쳐들어오게 된다면 굉장한 위험에 빠지게 될 것을 걱정하는데요. 이에 한신을 시켜서 적을 공격하게 합니다.이에 위나라는 백직이란 ..
조삼모사 뜻, 유래, 조삼모사로 깨달은 삶의 의미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삼모사의 뜻과 유래, 그리고 조삼모사로 깨달은 삶의 의미까지 알아보는 포스팅입니다. 조삼모사란? 조삼모사는 아침에는 3개, 저녁에는 4개라는 뜻입니다. 아주 단순하죠?! 한자어로도 '아침 조, 석 삼, 저녁 모, 넉 사'입니다. 그야말로 아침엔 세 개, 저녁엔 네 개를 의미하는데요. 어떤 이야기가 숨어있을지 정말 궁금해지죠? 우선 그 속에 숨은 의미를 먼저 공개하자면 모두들 당장의 차이에 신경쓰지만 결국 결과는 같다라는 것이고요. 또 다른 의미로는 잔꾀로 다른 사람을 농락하는 뜻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조삼모사의 유래 전국 시대 송나라에는 저공이라는 사람이 살았습니다. 이 사람은 원숭이를 정말 좋아했는데요. 집에서 원숭이를 무려 수십 마리를 길렀습니다. 이렇게 원숭이를 좋아하고 많은 ..
파죽지세 뜻, 의미, 유래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죽지세의 뜻과 그 의미, 그리고 고사성어에 숨겨진 유래까지 알아보는 포스팅입니다! 파죽지세란? 파죽지세는 대나무를 쪼개듯이 단호하고 맹렬해서 대항 자체가 불가능한 기세를 의미합니다. 한자어로는 '깨뜨릴 파, 대 죽, 의 지, 기세 세'를 쓰는데요. 그야말로 대나무를 깨뜨릴 기세입니다. 우리 일상에서도 기세가 좋을 때 파죽지세라는 말을 많이 쓰곤 하는데요. 오늘 그 속에 숨겨진 유래까지 알아보겠습니다. 파죽지세의 유래 서기 265년에 사마염은 조조가 세운 위나라를 멸망시키고 스스로 제위에 올라 국호를 진으로 고쳤습니다. 이때는 유비가 세운 촉나라도 망한 후여서 삼국 가운데서 오직 동쪽에 있는 오나라만 버티고 있는 상황이었는데요. 이에 사마염은 오나라를 치기 위해서 군대를 파견합니다. ..
더닝 크루거 효과 뜻, 의미, 무식하면 용감한 심리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더닝 크루거 효과의 뜻과 그 의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더닝 크루거 효과란?더닝 크루거 효과는 특정 분야에서 자신의 지식이나 능력을 스스로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Dunning Kruger effect'로 쓰는데요. 이는 비논리적인 추론으로 인해서 잘못된 판단을 하는 인지편향의 하나로 분석됩니다. 조금 더 풀어서 설명하면 특정 분야에서 제한된 지식이나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바라보는 객관적인 평가에 비해 자신 스스로 자신의 능력을 과대 평가하는 경향입니다. 우리말로는 '무식하면 용감하다'라는 말과 일맥상통하는 더닝 크루거 효과입니다.더닝 크루거 효과의 이유더닝 크루거 효과는 미국 코넬대학교의 심리학자인 데이비드 더닝과 저스틴 크루거의 논문에서 ..
깨진 유리창 이론의 의미와 시사점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깨진 유리창 이론의 의미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시사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깨진 유리창 이론이란? 깨진 유리창 이론은 유리창이 깨진 자동차를 길거리에 그냥 방치하게 되면 사회의 기본적인 법과 질서가 지키지지 않고 있다고 받아들여져서 더 큰 범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이론입니다. 이걸 사회적으로 범위를 조금 넓혀서 생각해보면 일상생활에서 가벼운 범죄가 발생했을 때 이를 적절히 처벌하지 않으면 결국 강력 범죄와 같은 큰 범죄로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을 경고하는 이론입니다. 깨진 유리창 이론의 시작 깨진 유리창 이론을 처음으로 소개한 사람은 스탠포드 대학의 심리학 교수 필립 짐바르도입니다. 필립 짐바르도는 1969년에 유리창이 깨지고 번호판도 없는 자동차를 브롱크스 길거리에..
을씨년스럽다 뜻, 유래, 슬픈 역사가 담긴 우리말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을씨는스럽다의 뜻과 그 속에 담겨져 있는 슬픈 역사까지 알아보는 포스팅입니다!'을씨년스럽다'의 뜻보통 우리는 날씨가 스산하거나 분위기가 으스스할 때 을씨년스럽다라는 말을 씁니다. 아마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이 말의 뜻을 대부분 이해는 하실텐데요. 그 속에 숨은 역사까지 숨어 있다는 사실을 아시는 분들은 많이 없더라고요. 오늘 확실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을씨년스럽다'의 유래을씨년스럽다는 말은 1905년 이후부터 쓰이게 되었습니다. 2024년 현재까지도 많이 쓰이고 있으니 정말 역사가 오래된 표현이죠? 사실 을씨년스럽다는 '을사년스럽다'가 변형된 말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을사년은 1905년을 의미하는데요. 바로 이 1905년이 일본이 강압적으로 조선과 한일협상조약을 맺은 해입니다. 즉..
오비이락 뜻, 의미,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유래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비이락의 뜻과 그 의미, 그리고 사자성어가 담고 있는 유래까지 한번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오비이락'이란?오비이락은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라는 아주 유명한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 아무 상관이 없는 일인데 마침 같은 타이밍에 일어나서 억울하거나 의심을 받게 되는 난처한 상황을 나타내는 말인데요. 한자어로는 '까마귀 오, 날 비, 배나무 리, 떨어질 락'입니다. 한자어를 직역해도 까마귀가 날자 배가 떨어진다는 그 뜻과 정확히 일치합니다!'오비이락'의 유래옛날에 까마귀 한 마리가 배나무에 앉아서 울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하필이면 그때 배나무에서 배가 떨어졌는데요. 또 하필이면 배나무 아래를 지나가던 독사 한 마리가 배나무에 떨어진 배에 머리를 맞아서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