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지식연구소

(182)
트로이의 목마, 전쟁을 끝낸 트로이의 목마 작전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랜 전쟁을 끝낸 트로이의 목마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트로이의 목마란?트로이의 목마는 트로이 도성을 점령하면서 전쟁을 끝냈던 작전입니다. 어린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으로 알려졌던 목마가 어떻게 전쟁까지 끝낸 작전으로 활용되었고, 지금까지도 회자되고 있는 걸까요. 정말 재미있는 역사인데요. 그 트로이의 목마 사건을 오늘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트로이의 목마 작전오디세우스는 건축가인 에페이오스를 시켜서 속이 빈 거대한 목마를 만들게 했는데요. 그런 다음 그리스 군의 정예요원들을 목마 안에 숨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는 목마에 그리스군이 철수하면서 아테네 여신에게 바치는 선물이라고 새겨둔 뒤 트로이 해안에 그 목마를 세워두었습니다. 그리고 시논이라는 첩자를 이용해서 이 ..
백의종군 뜻, 유래, 흰 옷을 입고 전쟁터에 나간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백의종군의 뜻과 왜 이런 말을 쓰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백의종군이란?백의종군은 흰 옷을 입고 전쟁터로 나간다는 뜻인데요. 언뜻 보면 무슨 소리인지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의미죠!? 흰 옷은 계급이나 권한이 없는 사람의 자격을 의미하는 것이고요. 옛날로 치면 평민의 신분으로 전쟁터에 나간다는 의미가 됩니다. 한자어로는 '흰 백, 옷 의, 따를 종, 군사 군'을 쓰는데요. 흰 옷을 입고 군사를 따른다 정도로 직역해볼 수 있습니다.백의종군의 의미백의를 직역하면 흰 옷인데요. 예로부터 흰 옷은 평민의 복장이었습니다. 즉, 벼슬이 없는 선비들이 주로 입는 옷이었는데요. 조선시대에는 관리들을 면직할 때 형벌의 차원에서 관직을 박탈하고 평민의 신분으로 복무하게 하기도 하..
수렴청정 뜻, 의미, 우리 역사 속 수렴청정의 기록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렴청정의 뜻과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고 우리나라 역사에서 수렴청정이 언제 이루어졌는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수렴청정이란?수렴청정은 역대 왕조에서 행해졌던 대리정치를 의미합니다. 대리정치란 왕이 아닌 다른 사람이 실질적인 국가의 통수권을 가지게 된 경우인데요. 보통 나이가 어린 왕이 즉위하게 되면 성인이 되는 기간 동안 왕대비나 대왕대비가 국정을 대리로 처리했던 일입니다. 수렴청정은 서기 53년 고구려 때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는데요. 그 기록들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우리나라의 수렴청정의 역사먼저 53년 고구려의 제 6대 왕인 태조가 7세에 왕위에 즉위했는데요. 그러자 태후가 수렴청정을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사실 3대 왕이었던 대무신왕도 11세에 즉위한 기록이 있는데요. 정황..
어불성설 뜻, 이치에 맞지 않는 말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불성설의 뜻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불성설이란? 어불성설은 말이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한자어로는 '말씀 어, 아닐 불, 이룰 성, 말씀 설'인데요. 한자어를 직역해보면 말을 이루지 못하는 말씀 정도로 해석해볼 수 있습니다. 즉, 말이 말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의미로 말도 안된다는 말이란 뜻입니다. 어불성설 이야기 어불성설은 비슷한 의미를 가진 한자성어도 많은데요. 말이 도무지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뜻의 어불근리와, 만불성설, 불성설 등이 있습니다. 결국 말이 하나의 일관된 논리로 쓰이지 못하게 때문에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지금까지 어불성설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일상을 살아가다보면 정말 어불성설하는 사람들을 많이 보게 됩니다. 본인은 스스로..
수어지교 뜻, 유래, 물고기는 물을 떠나서 살 수는 없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어지교의 뜻과 숨은 의미를 확인해보고 어떤 유래가 있는지까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수어지교란?수어지교는 물을 떠나서 살 수 없는 물고기라는 뜻으로 굉장히 긴밀한 관계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물고기와 물처럼 친한 사이라는 뜻이니 얼만큼 서로 가깝고 필수적인 관계인지 엿볼 수 있죠. 비슷한 한자성어로는 어수지친, 어수지락이 있는데요. 부부가 서로 사랑하는 것을 두고 이렇게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 말이 중국 삼국시대의 유비와 제갈량의 사이에서 비롯되었다는 말인 것을 아시나요!? 그 유래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수어지교의 유래삼고초려 끝에 유비와 제갈량은 날이 갈수록 친밀해졌는데요. 어느덧 둘은 친밀감이 짙어져 유비는 제갈량을 스승처럼 의지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도원결의를 맺은 관우와..
일거양득 뜻, 유래, 일석이조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일거양득의 뜻과 유래에 대해서 살펴보고 비슷한 의미를 가진 한자성어인 일석이조까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일거양득이란?일거양득은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이익을 얻는다는 뜻으로 일석이조와 일맥상통하는 한자성어입니다. 한자어로는 '한 일, 들 거, 두 량, 얻을 득'인데요. 그 속에 어떤 유래가 숨겨져 있는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일거양득의 유래중국 전국 시대에 진나라 왕인 혜왕은 깊은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 그 이유는 이웃에 있는 한나라와 위나라가 항상 진나라를 위협했기 때문인데요. 혜왕은 두 나라가 쳐들오기 전에 먼저 그들을 쳐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초나라에서 지혜롭기로 소문난 진진이란 자가 찾아왔는데요. 진진은 혜왕에게 이야기 하나를 들려주게 됩니다. "..
어부지리 뜻, 유래, 엉뚱한 사람에게 돌아간 행운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부지리의 뜻과 그 유래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어부지리란?어부지리는 두 사람이 싸우는 바람에 엉뚱한 제 3자의 사람이 이득을 본다는 뜻의 한자성어입니다. 한자어로는 '고기잡을 어, 사내 부, 어조사 지, 이로울 리'를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유래가 있길래 어부지리에 이런 뜻이 담겼는지 그 유래를 한번 살펴볼까요!?어부지리의 유래조나라가 연나라를 치려 할 때의 일이었습니다. 마침 연나라에 와 있던 소진의 아우 소대라는 자는 연나라의 왕에게 부탁을 받고 조나라의 해문왕을 찾아가서 한 이야기를 들려주며 설득을 하게 됩니다. 그 이야기는 아래와 같습니다."제가 이 곳으로 오는 도중에 역수를 건너오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마침 조개가 강변에 나와서 입을 벌리고 햇볕을 쪼이고 있었지요..
전광석화 뜻, 비슷한 한자성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광석화의 뜻과 비슷한 한자성어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전광석화란?전광석화는 극히 짧은 시간이나 찰나를 뜻하는 말입니다. 주로 아주 빠른 움직임을 뜻할 때 쓰는데요. 한자어로는 '번개 전, 빛 광, 돌 석, 불 화'를 사용합니다. 전광은 번개나 전기에서 나오는 불빛인데요. 석화는 돌과 돌이 부딪힐 때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불을 의미합니다. 전광석화는 전광과 석화가 합쳐진 단어인데요. 아주 짧은 시간, 찰나의 순간 들을 의미합니다.전광석화가 등장한 문헌과 비슷한 한자성어전광석화는 송나라 때의 승려인 보제가 편찬한 에도 등장하는데요. 이 책에 적힌 내용을 보면 "이 일은 부싯돌 불빛 같고 반짝이는 번갯불 같다"라는 말이 나옵니다. 전광석화는 비슷한 한자성어도 많이 있는데요. 뜻이 같..
밸푸어 선언, 짧지만 역사에 굵은 흔적을 남긴 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짧지만 역사에 굵은 흔적을 남긴 이야기! 밸푸어 선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밸푸어 선언이란?밸푸어 선언은 1917년에 있었던 일입니다. 말 그대로 밸푸어 선언문을 토대로 이루어진 선언을 한 사건인데요. 역사적으로 엄청난 파장을 몰고 왔지만 실상은 굉장히 짧은 문서입니다. 이런 문서는 역사적으로도 찾아보기 힘들다고 하는데요. 그 내용에 대해서 한번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밸푸어 선언 이야기밸푸어는 영국 외무부 장관의 이름입니다. 당시 영국 외무부 장관이었던 밸푸어가 영국 내에 유대인 사회의 대표자라고 볼 수 있는 로스차일드에게 보낸 한 페이지짜리 서신인데요. 내각이 팔레스타인에 유대인들의 '민족적 고향'을 건설하는 것을 지지한다는 내용입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영국 정..
주객전도 뜻, 비슷한 한자성어 및 상황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객전도의 뜻과 주객전도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한자성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주객전도란?주객전도는 앞뒤의 차례가 바뀐, 즉 주객이 바뀐 경우를 말하는 한자성어입니다. 한자어로는 '주인 주, 손 객, 넘어질 전, 거꾸로 도'를 쓰는데요. 한자어를 직역해도 주인과 손님이 거꾸로 바뀌었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우리는 어떠한 상황에서 그 중요도에 따라서 주인이 되는 주와 부수적으로 치부되는 객을 나눌 수 있는데요. 어떤 사람이나 사물에 있어서도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 덜 중요한 것이 있겠죠? 그리고 급한 것과 급하지 않은 것, 덜 급한 것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여기서 중요한 것과 급한 것 등이 주의 예가 되겠죠!? 바로 이런 경우 주객이 바뀐다면 중요한 것을 내버려두고 중요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