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승자박의 뜻과 그 유래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승자박이란?
자승자박은 자신이 만든 줄로 제 몸을 스스로 묶는다는 뜻인데요.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신이 얽매이게 되어서 어려움을 겪는다는 의미의 한자성어입니다. 한자어로는 '스스로 자, 줄 승, 스스로 자, 묶을 박'을 씁니다. 결국 자신의 말과 행동 때문에 자기가 속박을 당해서 괴로움을 겪는 것을 비유하는 의미로 씁니다. 자승자박을 줄여서 자박이라는 말로 줄여 쓰기도 합니다.
비슷한 말로는 '작접자폐'가 있는데요. 작접자폐는 자기가 주장한 의견이나 행동때문에 난처한 처지에 놓여 자신의 자유를 잃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자승자박의 유래
자승자박은 옛 <한서>의 <유협전>에 자박이란 말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시장에서 원섭의 노비가 백정과 말다툼을 하게 되었는데 결국 죽음까지 이르게 되었습니다. 이에 무릉의 태수인 윤공이 원섭을 죽이려고 협객들을 모았습니다. 그러고는 그들에게 원섭의 노예가 법을 어긴 것은 부덕하기 때문이며 그에게 옷을 벗고 스스로를 옭아 매어서 화살로 귀를 뚫고 법정에 나가서 사죄하게 하면 당신의 위엄이 유지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렇듯 원래는 궁지에 몰려서 항복의 표시로 자신의 몸을 묶고 관용을 청하는 것이 바로 자박입니다.
지금까지 자승자박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단순히 스스로 밧줄을 묶는다는 비유가 궁금했었는데 삶과 죽음이 연관지어진 고사를 보니 경건한 마음이 듭니다. 우리도 일상을 살다보면 자승자박의 순간을 많이 마주하게 됩니다. 스스로 자승자박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자신만의 원칙과 가치관을 가지고 삶을 정의롭게 살아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2024.04.23 - [지식연구소] - 어불성설 뜻, 이치에 맞지 않는 말
어불성설 뜻, 이치에 맞지 않는 말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불성설의 뜻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불성설이란? 어불성설은 말이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한자어로는 '말씀 어, 아닐 불, 이룰 성, 말씀 설'
ediaj.tistory.com
2024.04.23 - [지식연구소] - 전광석화 뜻, 비슷한 한자성어 알아보기
전광석화 뜻, 비슷한 한자성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광석화의 뜻과 비슷한 한자성어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전광석화란?전광석화는 극히 짧은 시간이나 찰나를 뜻하는 말입니다. 주로 아주 빠른 움직임을 뜻할 때
ediaj.tistory.com
'지식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잊혀지다 잊히다 잊다 맞춤법 바로 알기 (0) | 2024.06.27 |
---|---|
베테랑 배테랑 맞춤법, 뜻 알아보기 (0) | 2024.06.26 |
측은지심 뜻, 의미, 유래, 다른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 (0) | 2024.06.22 |
컨벤션 효과 뜻, 의미, 정치인들이 컨벤션 효과를 노리는 이유 (0) | 2024.06.21 |
청출어람 뜻, 의미, 유래, 스승을 능가하는 제자 (0) | 2024.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