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197)
전전긍긍 뜻, 유래, 겁을 먹고 벌벌 떨며 몸을 움츠린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전긍긍의 뜻과 그 유래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전전긍긍이란?전전긍긍은 겁을 먹고 벌벌 떨면서 몸을 움츠린다는 뜻의 한자성어입니다. 위기감에 절박해진 심정을 비유한 말인데요. 한자어로는 '싸울 전, 싸울 전, 삼갈 긍, 삼갈 긍'을 씁니다. 한자어 두 개를 연달아 쓰여서 만들어진 사자성어네요. 전전이란 겁을 먹고 떠는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고, 긍긍은 몸을 삼가고 조심하는 것을 말합니다. 전전긍긍은 옛 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전전긍긍의 유래에는 조정의 악정을 한탄한 시가 적혀 있는데요. 그 시는 아래와 같은 내용입니다."감히 맨손으로 범을 잡지 못하고, 감히 걸어서 황허강을 건너지 못한다. 사람들은 그 하나는 알지만 그 밖의 것들은 알지 못한다. 두려워서 벌벌 떨며..
감개무량 뜻, 감동이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감개무량의 뜻과 그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감개무량이란?감개무량은 마음속에서 느끼는 감동이나 정서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크다는 뜻의 한자성어입니다. 한자어로는 '느낄 감, 분개할 개, 없을 무, 수량 량'을 쓰는데요. 한자어에서 쓰인 '무'는 '없다'는 뜻이 아니라 '헤아릴 수 없을 만큼'이란 의미로 쓰인 한자입니다. 그래서 '느낌이 없다'라고 해석되는 것이 아닌 '너무나도 크다'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죠.감개무량의 의미감개무량은 우리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우리말인데요. 감개무량은 명사로서 '마음속에서 느끼는 감동이나 느낌이 끝이 없음. 또는 그 감동이나 느낌.'으로 풀이하고 있습니다. 예문으로는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문장을 확인할 수 ..
화무십일홍 뜻, 어떤 것도 영원한 것은 없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화무십일홍의 뜻과 그 원리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화무십일홍이란?화무십일홍은 '열흘 동안 붉은 꽃은 없다'는 뜻의 한자성어입니다. 즉 권력이나 부귀영화는 오래가지 못한다는 뜻인데요. 한자어로는 '꽃 화, 없을 무, 열 십, 날 일, 붉을 홍'을 씁니다. 결국 화무십일홍은 세상 이치의 기본이 되는 원리는 어떤 것도 영원하지 않다는 의미를 우리에게 전해주는데요. 우리의 전통 속담에도 '열흘 붉은 꽃은 없다'라는 표현이 있다고 합니다.화무십일홍의 의미화무십일홍은 새옹지마나 전화위복과 같은 한자와도 일맥상통하는데요. 이 두 한자성어도 그 의미를 알고보면 지금 상태가 언제든지 변할 수 있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지금의 권력이나 부귀가 영원할 것 같지만 언제든지 하루아침에 사라질 수도 ..
아연실색 뜻, 놀라서 말을 잃고 얼굴빛이 변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연실색의 뜻과 그 활용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아연실색이란?아연실색은 뜻밖의 일에 놀라서 말을 잃어버리고 얼굴빛이 변한다는 뜻의 한자성어업니다. 한자는 '벙어리 아, 그러할 연, 잃을 실, 낯빛 색'을 쓰는데요. 하도 어이가 없는 일을 당하면 말도 못 꺼내게 되는데요. 바로 그런 모습을 가리켜 아연실색이라고 하는 것이죠.국어사전 속 아연실색의 의미아연실색이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우리말 표준어라는 거 알고 계셨나요? 아연실색은 명사로서 '뜻밖의 일에 얼굴빛이 변할 정도로 놀람.'이라는 뜻을 가진 우리말 표준어입니다. 단, 국립국어원에서는 아연실색을 순화한 말로서 '크게 놀람'이라고 표현하기를 권고하고 있습니다.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서는 아연실색에 대한 예문도 찾아볼 수 있..
헤게모니 뜻, 의미, 다른 집단을 지배하는 패권 안녕하세요. 오늘은 헤게모니의 뜻과 그 의미까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헤게모니란?헤게모니는 사전적인 의미로는 한 나라의 제국에 대한 지배권, 패권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한 집단이나 국가가 다른 집단이나 국가를 지배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로 쓰입니다. 20세기 이후 미국의 패권은 계속되고 있는데요. 미국처럼 초강대국의 활동과 관련해서 미국이 다른 나라를 정치적으로 지배하는 것으로 헤게모니의 함의를 찾을 수 있습니다.헤게모니의 개념헤게모니는 합의를 통한 사회적 지배로 볼 수 있는데요. 그렇다고 완전히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지도 않습니다. 기존의 헤게모니와 대항하는 새로운 헤게모니가 등장해서 헤게모니 간 충돌을 할 수도 있는데요. 헤게모니는 지배 집단이 사회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