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연구소

마수걸이 뜻, 시장에서 상인이 처음으로 물건을 파는 일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마수걸이의 뜻과 몇 가지 사례를 통해서 그 의미를 정확히 파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수걸이의 모든 것

마수걸이란?

마수걸이는 본래 울산에서 유래한 말이라고 합니다. 울산 지역의 전통 시장에서 상인이 처음으로 물건을 파는 일을 마수걸이라고 했는데요. 현대에는 상인이 첫 물건을 판다는 의미로 마수걸이라는 말로 통용되어 쓰는 듯합니다.

본래 마수는 순 우리말로 장날에 상안이 처음에 파는 물건을 통해서 그날의 운을 예측하는 것을 말했는데요. 마수걸이가 이 의미가 확장되어서 처음으로 물건을 파는 일로 쓰이게 된 것입니다.

옛날 울산에서는 지역의 오일장은 매우 중요한 것이었는데요. 마수를 통해서 하루의 매상을 유추하고 하루 장사가 얼마나 고달플지 예측할 수 있었습니다. 사실 대부분의 상인들은 마수가 미신이라 생각하며 잘 언급하지는 않지만 심리적으로 약간의 찜찜함을 간직하고 있기에 그 내용들이 괜히 신경 쓰이는 것도 사실이긴 합니다.

마수의 사례

그 날의 운을 예측하는 마수에는 몇 가지 규칙들이 있는데요. 첫째로 첫 손님으로 여자를 맞이하면 하루 장사가 잘 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또 아기와 함께 온 엄마나 임산부를 맞이하면 운이 좋다는 것도 있고요. 이는 아이가 엄마 손을 잡고 있는 모습하고 배가 볼록하게 튀어 나온 임산부의 형태가 마치 손님이 계속해서 연달아오는 것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런 손님들에게는 마수의 운을 좋게 해준 덕으로 상인들이 서비스를 마구마구 주기도 한다고 합니다.

또 마수걸이 전에 손님이 물건은 사지도 않으면서 물건에 대해 묻기만 하거나 물건 앞에서 서성이기만 하면 장사하는 내내 이런 손님들만 꼬인다는 규칙도 있는데요. 따라서 상인들이 이런 손님은 상당히 불쾌해한다고 하네요.


오늘은 마수걸이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마수걸이의 뜻과 몇 가지 규칙들을 살펴보면서 그 내용을 살펴보았는데요. 상인들은 장사가 그 날 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생이 달려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런 미신까지 신겨쓰는 모습이 먹고살기 힘든 우리의 인생을 여실히 보여주는 듯하네요.

2024.10.29 - [지식연구소] - 단도리 치다 뜻, 의미, 순화어 알아보기

 

단도리 치다 뜻, 의미, 순화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단도리 치다에서 단도리의 뜻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우리말 순화어로는 어떤 것이 있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단도리란?우리는 일상을 살아가면서 '단도리 친다'는 말을

ediaj.tistory.com

2024.11.07 - [지식연구소] - 점입가경 뜻, 유래, 점점 갈수록 재미있게 전개된다

 

점입가경 뜻, 유래, 점점 갈수록 재미있게 전개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점입가경의 뜻과 그 유래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점입가경이란?점입가경은 경치, 문장, 어떤 일의 상황 등이 점점 갈수록 재미있게 전개된다는 뜻의 한자

ediaj.tistory.com